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라벤더 Herb 키우기 ​보라색 꽃을 피우는 라벤더는 정신안정, 불안해소, 화상, 벌레 물린 데, 발의피로, 스트레스해소에 효과적이다. 용토 - 물빠짐이 좋고, 건조한 약알칼리성 토질을 좋아하며, 고온다습을 싫어한다. 오히려 척박한 토질에서 향기가 좋은 꽃이 핀다.키우기 - 잎이 무성한 곳은 가지를 쳐주고, 밑가지를 정리해서 통풍이 좋게 한다. 꽃이 핀 다음 잘라 주면 다음해에 꽃이 더 잘 달린다. 9~10월에 잘 자란 가지를 10cm 정도 잘라서 삽목하고, 3년 정도 되어서 포기가 커지면 봄과 가을에 포기나누기를 한다.활용하기 - 꽃봉오리가 열렸을 때 잎이 2개 정도 달리게 잘라서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서 말린다. 건조시킨 후 고기요리, 샐러드 등에 넣어 향을 돋우는 데 사용한다. 말린 라벤더를 장롱 속에 넣어 두면 살균과 방.. 더보기
민트류Herb 키우기 민트류 키우기​살균·진정효과가 있고, 소화불량·감기에 좋다. 건조시킬 때는 오전 중에 지상 7cm 정도 되는 부분을 잘라서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 말리면 가장 향이 좋다. 용토 - 적당히 습한 토질이 좋으나 특별히 토질을 가리지는 않는다.키우기 - 화분에 심을 때는 30cm 이상 깊이 파주고 석회를 뿌려 둔다.심기 - 4~5일 전에 퇴비를 많이 섞어 물빠짐과 보수력이 좋은 비옥한 흙을 만든다.1~2월에 1회 비료를 뿌려 준다. 포기 나누기나 삽목(꺾꽂이)으로 늘려간다.활용하기 - 민트는 요리나 미용, 향료로 많이 이용되는데, 생잎이나 마른 잎 1작은술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차로 마시면 소화를 돕고 구취를 제거한다. 생잎이나 말린 잎, 페퍼민트오일, 소금을 욕조에 넣고 몸을 담그면 근육의 피로를 없애 .. 더보기
세미원 매년 이맘때면, 전국이 들썩인다. 6월 말부터 7월 중순까지, 전국의 연꽃이 만개하는 시기기 때문이다. 서울에서 당일치기로 가볼만한 연꽃명소가 하나 있다. 양평 세미원이다. 나도 해다마 와이프와 함께 이곳을 종종 방문하던 시절이 있었다. 오랜만에 이맘때 현장 풍경, 축제 정보, 연꽃피는시기 등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 본다. ​양평 세미원 연꽃피는시기는 6월 말에서 7월 중순 사이다. 참고로 포스팅 시점은 7월 5일 무렵이다. 따라서 일주일 정도 남은 셈이다. 완전한 만개 상황은 아니었고, 60~70% 개화 상황으로 기억한다. 완전한 만개는 7월 15일 정도에 찾으면 되지 싶다. 현장의 정확한 연꽃 개화 상황은 세미원 홈페이지 등을 참고하고 움직이자. 이왕이면 맑은 날에 찾길 바란다. 더보기
약초달이기 옛말에 약의 효능은 7할이 달이는 데 있다고 했다. 그만큼 달이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예로부터 급성질병에 쓰는 약은 센 불에 달였고, 만성질병에 쓰는 약은 약한 불에 달였다. 요즘 한방치료를 요하는 질병은 대부분 만성이므로 뭉근한 불에 오래 달여야 한다. 약재를 달일 때는, 일단 물이 끓고 나면 불을 최대한 낮춰 끓는 상태가 유지되도록만 한 채 뚜껑을 열어 둔다. 몇몇을 제외한 대부분의 약초는 약한 불에서 오래 달일수록 좋다. 대개 2~4시간을 달인다. 잎은 약 성분이 빨리 우러나지만 줄기와 뿌리는 되도록 오래 달여야 한다. 약재의 분량은 물 1.8ℓ에 잎은 20g, 줄기·뿌리·열매는 50g 정도면 적당하다. 이것을 넣고 달이기 시작해 물이 절반가량 남으면 다 달여진 것이다. 줄기와 뿌리는 재탕해.. 더보기
석창포 특징과 섭취방법 형태천남성과.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50cm 정도이다. 물가 바위에 붙어 자라며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긴 칼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6~7월에 꽃줄기 옆에 육수화서를 이루며 연한 노란색으로 피고 열매는 9~10월에 둥글게 열린다. 효능부위효과눈, 목, 귀눈과 귀를 밝헤 하며, 목소리가 잘 나오게 한다.관절풍과 습으로 인한 관절질환을 치료한다.살충이와 벼룩을 없애고, 뱃속의 기생충을 죽인다.항치매건망증을 치료하며 지혜롭게 한다.통증개선위가 아픈 것을 멎게 한다.항비만, 항노화몸을 가볍게 하며 늙지 않고 오래 살게 한다.뇌 건강간질을 치료한다. 약초 만들기5~12월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바늘잎과 잔뿌리를 제거하고 그늘에 말린다. 섭취방법항비만, 항노화몸을 가볍게 하고 늙지 않고 오래.. 더보기
감초의 특징과 용법 · 학명명: Glycyrrhiza uralensis FISCH · 생약명: 감초, 국로 - 뿌리줄기를 말린 것 · 주요 효과 질환: 순환계, 소화기, 질환을 이비인후과 질환을 다스린다. · 한방: 음식물 중독, 약물 중독, 만성 위염, 기관지염, 간염, 인후두의 염증, 습진, 옹종, 식중독, 독버섯 중독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한약 처방에 감초를 섞는 것은 약초와 배합할 때 독성을 약하게 하거나 효능을 조화시키기 위함이다. 한방에서는 가장 용도가 많은 약재로, 대표적인 처방에는 자감초탕· 작약감초탕 · 감초길경탕 등이 있다. 자감초탕은 심계항진으로 맥박이 일정하지 않을 때 복용한다. · 약초 만들기: 봄과 가을에 뿌리를 캐서 줄기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 햇볕에 말린다. · 용법- 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