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Paeonia japonica Miyabe et Takeda

 

· 생약명: 작약-뿌리를 말린 것

 

· 주요 효과 질환: 부인과, 신진대사 질환을 다스린다.

 

· 한방: 월경불순, 월경이 멈추지 않는 증세, 대하증, 복통, 위통, 두통, 식은땀이 흐르는 증세, 현훈, 신체허약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 효능: 해열, 이뇨, 조혈, 진통, 진경, 지한

 

· 약초 만들기: 가을에 뿌리를 캐어 줄기와 잔뿌리를 제거한 후 물로 씻고 햇볕에 말린다.

 

· 용법

- 말린 약재를 1회 2~5g씩 달이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하루 6~12g 쓴다.

- 작약, 감초 각각 15g을 섞은 작약감초탕을 근육경련으로 인한 통증, 신경통, 담석증으로 배가 아픈 데 등에 쓴다. 하루 2첩을

달여 3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 작약 15g, 당귀 8g, 깽깽이풀 8g, 황금 8g, 빈랑 4g, 감초 2g, 대황 5g, 육계 4g을 섞은 작약탕은 세균성 이질로 배가 아프고

뒤에 묵직한데 쓴다. 달여서 하루에 3번 복용한다.

 

· 형태 미나리아재비과로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 40~50cm 자란다. 부리는 굵고 육질이며 밑부분은 비늘 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털 모양이며 작은잎은 긴 타원형이다. 꽃은 6월에 붉은색, 흰색으로 피고 원줄기 끝에서 한송이씩 달린다. 열매는 9~10월에 골돌로 여문다. 

 

 

※ 위 자료는 (약초도감.  최수찬저. 지식서관. 2013.) 문헌을 참고 하였습니다.

Recent Posts
Recent Comments